2024년 8월 13일, 벤츠 코리아는 자사 전기차 차종별 배터리 제조사 현황 정보를 공개했습니다. 벤츠 코리아의 이번 조치는 현대자동차와 기아, BMW에 이어 이루어진 것으로, 본 글에서는 정보 공개의 배경과 배터리 제조사 세부 내역을 알아보겠습니다.
1. 배경 및 사건 개요
벤츠 코리아의 배터리 제조사 공개는 2024년 8월 1일, 인천의 한 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건을 계기로 이루어졌습니다. 해당 화재는 충전 중이지 않은 상태로 그냥 일반 주차된 벤츠 전기차 EQE 350 모델에서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지하주차장에 주차되어 있던 총 140여 대의 차량이 소실되고 800여 명의 이재민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은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 논란을 촉발시키며, 일부 아파트 단지에서는 전기차의 지하 주차장 출입을 금지하는 조치까지 이루어졌습니다.
2. 벤츠 코리아의 배터리 제조사 공개
벤츠 코리아는 그간 영업비밀의 이유로 배터리 제조사 공개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지만, 사건 발생 이후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소비자의 불안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판단하에, 자사 전기차 모델에 탑재된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벤츠 코리아 홈페이지에 공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EQE 350 모델의 배터리는 중국의 파라시스 에너지(Farasis Energy)에서 제조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와 더불어 벤츠 코리아는 LG에너지솔루션, SK온, CATL 등 주요 배터리 제조사들이 자사 전기차 모델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특이할만한 사항으로, EQE 350 모델 이외에도 상당 수의 모델에 중국산 파라시스 배터리가 사용되었고, 일부 몇 개의 모델에 국산 배터리가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ATL은 같은 중국산이지만 세계1위의 업체로 파라시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신뢰성과 안전성을 인정받은 업체로 알려져 있습니다.
MODEL | MY20 | MY21 | MY22 | MY23 | MY24 | MY25 | |
EQC | Mercedes-Benz EQC 400 4MATIC | LG | LG | - | - | - | - |
EQA | Mercedes-Benz EQA 250 | - | CATL | CATL | SK on | SK on | SK on |
EQB | Mercedes-Benz EQB 300 4MATIC | - | - | SK on | SK on | SK on | SK on |
EQE | Mercedes-Benz EQE 300 | - | - | - | CATL | - | - |
Mercedes-Benz EQE 350+ | - | - | Farasis | Farasis | Farasis | - | |
Mercedes-AMG EQE 53 4MATIC+ | - | - | - | Farasis | - | - | |
Mercedes-Benz EQE 350 4MATIC | - | - | - | Farasis | Farasis | - | |
EQE SUV | Mercedes-Benz EQE 500 4MAIC SUV | - | - | - | Farasis | - | - |
Mercedes-Benz EQE 350 4MATIC SUV | - | - | - | CATL | - | - | |
EQS | Mercedes-Benz EQS 350 | - | - | Farasis | - | - | - |
Mercedes-Benz EQS 450+ | - | - | CATL | CATL | - | - | |
Mercedes-Benz EQS 450 4MATIC | - | - | - | CATL | - | - | |
Mercedes-Benz EQS 53 4MATIC+ | - | - | CATL | CATL | - | - | |
EQS SUV | Mercedes-Benz EQS 450 4MATIC SUV | - | - | - | CATL | - | - |
Mercedes-Benz EQS 580 4MATIC SUV | - | - | - | CATL | - | - | |
MM EQS SUV | Mercedes-Maybach EQS 680 SUV | - | - | - | - | CATL | - |
BMW 코리아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현황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현황
3. 화재 원인 및 배터리 안전성 문제
이번 사건에서 문제시된 '열 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은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열 폭주란 배터리 셀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면서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이는 배터리 화재의 발생 가능성을 크게 높입니다.
특히, 배터리 화재는 전통적인 화재와 달리 진화가 어려워 피해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 문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번 벤츠 코리아의 정보 공개는 배터리 제조사들이 제품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더 많은 책임을 지도록 하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4. 소비자와 정부의 반응
이번 정보 공개 이후, 소비자들은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정부 역시 전기차 제조사들에게 배터리 정보의 의무 공개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전기차의 안전 점검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 중입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추가로, 전기차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특정 조건에서 지하 주차장 출입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마치며
벤츠 코리아의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현황과 정보 공개는 안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를 해소하고자 하는 중요한 조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번 발표를 계기로 다른 전기차 제조사들도 배터리 안전성 문제에 대해 더 큰 책임을 지게 될 것이며, 이는 전기차 산업 전반의 투명성 강화와 안전성 제고로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는 점차 전기차 배터리 관련 정보의 투명한 공개와 기술적 안전성 확보가 더욱 중요해지리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