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파트 분양가 상승, 하락 요인 : 공급부족, 건설원가, 대출규제, 분양률 하락

by usagi00 2024. 9. 18.

2024년 부동산 시장은 공급 부족, 건설 원가 상승, 대출 규제 강화, 분양률 하락 등 다양한 변수가 얽히며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지역별 아파트 공급 현황을 분석하고, 최근의 시장 상황 및 정책 변화가 분양가 상승과 하락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살펴보겠습니다.

 

 

1.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공급 현황

2024년 서울과 수도권의 아파트 공급량은 감소할 전망입니다. 2023년 대비 서울의 아파트 입주 물량은 59% 감소한 1만 2334세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며, 수도권 역시 약 18% 줄어든 3만 769세대에 불과할 것입니다. 이러한 공급 감소는 최근 몇 년간 부동산 경기 악화, 건설사의 분양 축소,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 등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나타난 결과입니다.

 

공급량이 감소하면서 서울과 수도권의 주택 가격 상승세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은 고가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높으며, 매매 시장보다는 전세 시장에서 수급 불균형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세 가격이 매매 가격보다 빠르게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 전세난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지방 아파트 공급 및 시장 상황

지방의 경우 지역별로 아파트 공급량의 차이가 큽니다. 대구, 부산, 인천과 같은 대도시는 과잉 공급으로 인해 미분양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지만, 입주 물량이 다소 감소하며 미분양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있습니다. 반면, 충남, 경남, 세종 등은 아파트 공급이 증가할 전망으로, 미분양 주택이 늘어나면서 주택 가격 하락 압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방 아파트 시장의 양극화는 인구 이동 및 경제 구조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으로의 선호도 집중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지방의 주택 수요는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지방의 주택 공급 과잉 문제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3. 건설 원가 상승과 영향

건설 원가 상승은 최근 아파트 분양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자재비 및 인건비의 급격한 상승은 건설사들의 재정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으며, 이는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2023년 기준으로 건설 원가는 약 20% 가까이 증가했으며, 이는 아파트 분양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요 자재인 철강과 콘크리트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건설사들은 기존의 비용 절감 전략을 유지하기 어려워졌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시멘트와 레미콘 가격 상승이 건설비 인상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현대건설 전반기 보고서에 의하면,  2023년 4분기 1㎥(루베) 당 7만 7200원에서 2024년 2분기 9만 3700원으로 반년만에 21% 넘게 가격이 치솟았습니다. 

 

2020년 건설공사비 100을 기준으로 그 변화량을 산정한 건설공사비 지수를 살펴보면 증가 추이를 더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0년 99.31, 2021년 112.51, 2022년 125.01, 2023년 127.33, 2024년 7월 130.10의 수치에서 알 수 있듯이, 코로나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평균 물가상승률 보다 현저히 높은 상승 추이를 기록하며 분양가 상승의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최근-5년간-건설공사비지수-추이를-보여주는-그래프
건설공사비지수-추이

 

이에 따라 향후 분양가는 원가 상승분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한정적인 상황에서 급격한 분양가 상승은 분양률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 건설사들이 분양가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4. 대출 규제와 구매력 제한

2024년 초부터 강화된 대출 규제는 주택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정부는 가계부채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주택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강화했으며, 주택 구매에 나서려는 실수요자들의 대출 한도를 점진적으로 제한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지난 9월 1일부터 스트레스 DSR 2단계가 적용되기 시작해서 대략 10% 내외의 대출 한도가 이미 감소했으며, 내년 1월 3단계 추가 금리 1.5% 적용되면 대출한도의 감소는 15%~20%에 이르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변동금리 대출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게 되며, 주택 구매 실수요자들에게 상당한 장벽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중산층과 저소득층은 대출을 통해 주택을 구매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고, 시장 내 수요가 고가 주택에 집중되는 '똘똘한 한 채'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런 영향으로 서울과 수도권의 특정 지역에서 주택 가격이 상승하는 반면, 지방에서는 수요 부족으로 주택 가격 하락 압박이 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5. 분양률 변화와 영향

최근 몇 년간 분양률은 대출 규제와 경기 침체로 인해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수도권에서는 공급 부족으로 인해 높은 분양률이 유지될 가능성이 있지만, 지방에서는 미분양 물량 증가로 인해 분양률이 저조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지방의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준공 후 미분양이 늘어나면서 주택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초기분양률이란 분양 후 3개월이 지난 시점부터 6개월까지의 총 분양세대 중 실제 계약 체결까지 완료된 비율을 말합니다. 청약 분양률에는 어느 정도 허수 지원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분양률을 확인하는 데에는 초기분양률 지수가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다음 표는 최근 5년간 전국 아파트 초기분양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파트 시세 정점을 찍었던 2021년 이후 전국 평균 수치는 큰 폭으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반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지수는 상대적으로 잘 유지되고 있어 부동산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난-5년간-민간-아파트의-초기분양률을-보여주는-표
전국-아파트-초기분양률

 

건설사들은 부진한 분양률을 높이기 위해 가격 조정이나 마케팅 전략을 강화하고 있지만, 수요 자체가 감소하는 상황과 건설원가 상승으로 인한 분양가 상승으로 인해 효과가 제한적입니다. 지방의 미분양 문제는 건설사의 재정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이는 향후 신규 분양 물량의 축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6. 아파트 분양가 전망

아파트 분양가는 전체적으로 그 상승 폭이 제한적일 가능성이 큽니다. 건설 원가 상승과 공급 부족은 분양가 인상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대출 규제에 의한 실수요자들의 구매력 약화는 분양가 인상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특히 지방의 경우, 수요 대비 공급 과잉과 미분양 증가로 인해 분양가의 변동폭은 크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서울과 수도권의 아파트 분양가는 다른 악재에도 불구하고 완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서울의 경우 공급물량 감소로 인한 희소성으로 상승 폭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울의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7월 기준, 2021년 9월 이후 처음으로 140 수치를 회복하며 서울 쏠림 현상에 더 속도가 붙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곧, 건설원가 상승과 대출 규제 등으로 인해 가장 효율성이 높은 '똘똘한 한 채'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아파트 평균 분양가격 통계를 살펴보면, 지난 6월 서울 지역의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 당 최초로 4천만 원을 넘어섰고, 경기도 역시 최초로 2000만 원을 돌파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의 규제 정책과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투자 전략이 필요할 것입니다.

 

 

마치며

2024년 후반기 이후 아파트 분양가는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울과 수도권에서는 공급 부족과 건설원가 상승으로 인해 분양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크지만, 전체적인 분양률 하락, 대출 규제와 구매력 제한이 이를 부분적으로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반면 지방은 공급 과잉과 미분양 문제로 인해 분양가가 변동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수요가 크지 않은 지역에서는 오히려 분양가 하락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전반적으로, 한국 부동산 시장은 지역별로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정부의 정책 방향과 소비자들의 구매력 변화가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향후 주택 구매자들은 지역별 차별화 전략이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